본문 바로가기
문화유산(고궁,사찰,기타)

창경궁 3 (06. 02. 18)

by 柔淡 2006. 2. 23.

춘당지

 

자경전 터에서 내려오면 보이는 커다란 연못인 춘당지(春塘池)는 동궐이 기대앉은 응봉의 물을 끌어들여 잠시 품었다가 금천으로 흘려보낸다. 그러나 현재 춘당지는 본모습이 아니다. 현재 춘당지는 네모반듯한 조선시대 인공못과는 달리 우둘투둘한 호리병 모양이다.  자경전 터에서 내려와 바로 보이는 것은 원래 춘당지가 아닌 내농포라는, 왕이 농사 시범을 보이던 논이 있던 자리이다. 못가를 한참 둘러가면 작은 다리가 나오는데 그 위쪽 연못이 모습은 약간 바뀌었지만 원래의 춘당지이다. 일제시대 창경궁을 창경원으로 격하시키면서 내농포를 파내고 원래 춘당지에 잇대어 못을 만들어 놀잇배를 띄우고 놀았다고 한다.

 

 

 

 

 

 

 

원앙은 아주 예민한 새인데 이곳 춘당지에 둥지를 틀었다. 대관령 삼양목장에도 원앙 서식지가

있는데 그곳에선 가까이 가면 날아가 버린다.

금슬이 좋은 부부를 원앙에 비유하는데 실제로는 원앙 수컷은 아주 바람둥이라고 한다.

 

원앙은 우리나라 새 중에서 가장 깃털이 화려하고 아름답습니다. 예컨대 자연 속에 있어도 눈에 잘 띄는 노랑, 청색, 흰색, 황금색의 현란하고 고운 깃털을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원앙의 수컷들은 낮이나 밤이나 늘 적으로부터 암컷을 지키려고 그 주변에서 떠나는 일이 없습니다. 그처럼 밤이나 낮이나 암컷을 사랑하고 보호하는 습관이 있어 원앙이 사는 곳 주변에 있는 마을의 사람들은 잠을 못 이룰 지경이라고 합니다.

어쨌든 원앙은 새색시처럼 아름답고 또 일생 동안 변함없이 암수가 서로 사랑하고 지내기 때문에 혼례 때에는 언제나 원앙처럼 사랑하라고 말하는 것이며, 신랑, 신부가 함께 베고 자는, 모서리에 원앙을 수 놓은 긴베개를 원앙침이라고 일컫습니다.

물위를 나란히 떠다니는 원앙의 모습을 보면 서로 싸운다거나 떨어져 산다는 것을 상상할 수도 없습니다. 그래서 사람들은 한 쌍의 원앙 가운데 한 마리가 죽으면 끝내 나머지도 죽음의 길로 갈 것이라고 여기기까지 합니다.

중국이나 우리나라 사람들이 혼례를 치를 때 한 쌍의 원앙을 선물하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 입니다. 게다가 사이가 좋지 않는 부부가 원앙의 고기를 먹으면 애정이 다시 싹튼다는 속설까지 전해 내려 오기도 합니다.

그러나 천연기념물 제327호이자 주로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하는 원앙은 알고 보면 더할 나위없는 '바람둥이'입니다. 원앙의 산란기는 4월하순에서 7월까지인데, 이를 앞둔 월동기에서부터 산란기까지 원앙들은 짝짓기에 열을 올립니다. 빼어난 아름다움을 지닌 수컷은 자갈색 앞가슴과 오렌지색의 부채형 날개를 돋우며 암컷을 한껏 유혹합니다.

보통 한 마리 암컷에 열 마리 안팎의 수컷이 몰려와 구애작업을 벌이는데 암컷은 이중 한 수컷을 낙점합니다. 이런 짝짓기는 매년 원앙이 사는 내륙의 물가나 숲속의 연못에서 일어나는 일이죠. 그렇게 사이좋아 보이는 원앙이 수시로 '체인징 파트너'를 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짝을 찾은 후에도 암컷이 알을 낳고 나면 수컷은 곧 암컷을 떠납니다. 이때는 '바람기' 때문이라기보다는 워낙 화려한 자신의 치장 탓에 암컷과 같이 있다간 알이 위험에 처할 수도 있다는 '부성의 발로' 에서 입니다. 결혼식에서 주례가 '원앙처럼 살라' 고 하는 것은 동물생태학적 측면에서 보면 조금 살다 이혼하라는 말이 될 수도 있으니 알고 보면 참 아이러니한 새입니다.

이런 원앙과는 달리, 흔히 '잉꼬'나 '사랑새'라고도 부르는 새는 '사랑앵무'가 정확한 이름입니다. 영어로도 'Love bird'라고 불리울만큼 부부간의 금슬이 좋습니다. 하지만 '잉꼬(インコ)'라는 말은 일본말이므로 '사랑새'로 바꿔 불러야 하겠습니다.

 

알록달록하게 색깔이 아름다운게 수컷이다.

 

 

 

 

 

 

 

 

 

 

춘당지옆에 우리나라양ㅇ식이 아닌 특이한 모양의 석탑이 있다.

 

식물원 일대

   춘당지 너머 북쪽으로 힐끗 보이는 유리건물은 아직 남아있는 식물원의 흔적, 대온실이다. 원래 조선시대 춘당지와 그 북쪽 일대에는 창경궁과 창덕궁의 구별 없이 원유 공간이 펼쳐져 있었고, 이를 후원, 북원, 또는 금원이라 불렀다. 후원은 단순한 휴식 공간만이 아니라 과거시험이나 군사 훈련, 활쏘기, 종친 모임, 왕의 농사 시범 등이 열리는 다목적 공간이다. 그러나 일제는 이곳에 ‘비원’이라는 잘못된 이름을 붙인 후 그저 흥청망청 놀기만 했던 곳처럼 보이려고 원래의 모습을 변형시켰고, 창덕궁에 황제가 살고 있었음에도 관람객을 마구 끌어들여 이 공간을 망가뜨렸다. 이 이름이 아직까지 없어지지 않고 끈질기게 남아 있는 것이다.

창경궁을 비롯한 대부분의 궁궐엔 오래된 나무들이많다.

 

소나무

 

 

 

향나무

주목

느티나무

'문화유산(고궁,사찰,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소사 (06. 02. 25)  (0) 2006.02.26
종묘 (06. 02. 19)  (0) 2006.02.24
창경궁 2 (06. 02. 18)  (0) 2006.02.23
창경궁 1 (06. 02. 19)  (0) 2006.02.21
가사문학관, 식영정, 명옥헌 (06. 02. 11)  (0) 2006.0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