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내여행/대전·세종·충청

[공주]계룡산 3대사찰 하룻만에 둘러보기 - 신원사 2, 중악단

by 柔淡 2012. 7. 4.

신원사에는 다른 사찰에서 볼수없는 독특한 건물이 하나있는데 계룡산 산신제가 열리는 중악단이다.

 

1999년 3월 2일 보물 제1293호로 지정되었다. 신원사에서 소유하고 관리한다.

신원사 대웅전 오른쪽 뒤편에 자리잡고 있는 일종의 산신각으로, 계룡산 산신을 모시던 제단()이다. 산신각

중에서는 전국 최대의 규모라 할 수 있다. 태조는 1394년(태조 3) 북쪽 묘향산의 상악, 남쪽 지리산의 하악과 함께

예로부터 영산()으로 꼽히는 3악()의 하나인 계룡산의 신원사 경내에 계룡단()이라는 단을 모시고

산신에게 제사를 지냈다. 1651년(효종 2)에는 이 단이 폐지되었다가 1879년(고종 16) 명성황후의 명으로 재건하고

중악단이라고 이름을 고쳤다. 중악단은 완만한 구릉지에 대문간채, 중문간채, 중악단을 일직선상에 배치하였고

둘레에는 네모난 담장으로 둘렀다.

대문간채는 정면 7칸, 측면 1칸 건물로, 솟을삼문 양쪽에 2칸씩을 덧붙이고 양쪽 끝에서 뒤쪽으로 2칸씩을 덧붙여

형 평면을 이루고 있으며, 삼문 양쪽에도 작은 2짝 판문을 달아 평상시 드나들게 하였다. 중문간채 안쪽에는

비교적 넓은 마당 가운데에 신도()를 설치하였다. 대문간채의 중앙칸 및 중문간채의 중앙칸 판문에 신장상

()이 그려져 있고, 이들의 화방벽 및 담장에는 기왓조각으로 수()·복()·강()·녕()·길()·희() 등의

문자를 무늬로 장식하였다.

본전 중악단은 정면 3칸, 측면 3칸의 다포식 팔작지붕 집이다. 내부 바닥은 우물마루를 깔았고 가운데 벽면에는 단을

설치하였으며, 감실에 계룡산신의 신위와 영정을 모셔두었다. 공포는 정면 각 칸에 2조씩, 측면에는 1조씩의 공간포를

배열하고 외3출목, 내4출목의 포작을 두었으며, 내·외부 살미는 조선 말기의 특징적인 수법으로 조각·장식되었다.

본전 단청은 약간 변형된 부분이 있지만 건립 당시의 수법을 살필 수 있고, 각 추녀마루 위에 각각 7개씩의 잡상을 배치한

점도 특이하다. 현판은 조선 후기 문신 이중하()가 1891년에 쓴 것이다.

조선시대의 상악단과 하악단은 멸실되어 그 내용을 알 수 없으나 중악단만은 그 일곽이 잘 보존되어 있으며, 나라에서

산신에게 제사를 지냈던 역사적 의미가 있는 곳이다. 또한 왕실 주도로 건축되면서 조선 후기의 장식적이며 특징있는 궁전

건축 양식 및 수법을 부분적으로 수용하고 단묘건축물로서의 격식을 갖추었으며 소규모의 건물임에도 화려하고 위엄있게

조성된, 조선 말기의 빼어난 건축물로 꼽힌다. 따라서 계룡산 중악단은 그 역사적 배경과 함께 건축사적·기술사적·학술적

가치가 크다.

중악단 전경 

 

 

 

 내부

 

 

 

 

 

 

 신원사 5층석탑

 

 

 

 

 신원사의 부속암자인 소림원 대웅전

 

 

 

 

 

 

 

 감나무 열매가 막 생기고 있다.

 

 

 

 신원사에 국보가 하나 있는데 제 299호로 지정된 노사나괴불탱이다. 원본은 볼수가 없고 대웅전 왼쪽에 축소된 모사품이 걸려있다.

화엄종의 주불인 비로자나불을 대신하여 노사나불이 영취산에서 설법하는 장면인 영산회상을 그린 괘불이다. 괘불이란 절에서 큰 법회나 의식을 행하기 위해 법당 앞뜰에 걸어놓고 예배를 드리는 대형 불교그림이다.

길이 11.18m, 폭 6.88m 크기의 이 괘불은 노사나불이 단독으로 중생을 설법하는 모습으로, 노사나불을 중심으로 좌우에는 10대보살과 10대제자, 사천왕 등이 그려져 있다. 단독으로 그려진 노사나불은 화면을 가득 채우고 있으며, 손은 신체에 비해 큰 편으로 손바닥을 들어올려 설법하는 모습의 손 모양을 하고 있다. 녹색과 홍색, 분홍색 등을 이용하여 옷을 표현하였고, 5가지색으로 빛을 형상화하여 주변 배경을 표현하였다. 중심 불상의 좌우에는 각기 다른 물건과 두광이나 옷색의 차이 등을 이용해 10대보살들을 표현하고 있다. 보살 위의 10대제자들은 서로 다른 얼굴 방향과 표정, 각기 다른 옷과 물건, 자연스러운 동작과 모습으로 섬세하게 표현되었다.

인조 22년(1644)에 제작된 이 괘불은 짜임새있는 구도, 섬세한 표현, 밝게 표현된 색조 등이 세련된 솜씨로 표현되어 있어 조선 후기 불화양식을 보여주는 17세기 대표적인 작품이다.

 

 

 

 

 

 신원사에서 다음 목적지인 갑사로 가는길,

 계룡산의 주봉인 천왕봉이 아스라히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