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내여행/대전·세종·충청

[논산]조선후기 중부지방 한옥의 모범, 명재 윤증고택 2 - 사랑채와 행랑채

by 柔淡 2012. 5. 31.

명재고택에 들어서면 가장 먼저 눈에 띄는 건물이 사랑채다.

윤증선생 고택의 특징을 한마디로 말하자면, 안채와 사랑채를 여러 측면에서 대비적으로 구성한 점이라고

할 수 있다. 이렇게 안채와 사랑채를 별채로 구성한 한옥이 우리에게 익숙한데, 일반적으로 짐작하는 것과는

달리, 이런 주택 구성방식은 아주 오래 전부터 내려온 것이 아니고 조선 중기에 성리학적 사고가 확고히 자리

잡으면서 비로소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조선 중기에 이르면, 개방적이고, 외향적이며 원심적이고, 수직적으로

구성되는 남성의 공간인 사랑채영역과, 폐쇄적이고, 내향적이며 구심적이고, 수평적으로 구성되는 여성의 공간

인 안채영역이 생활공간의 핵심을 이루게 된다.


윤증선생 고택의 사랑채는 마을을 향해서 열려 있다. 밖으로 자신감 있게 드러내 보이는 것이다. 사랑채는 한

가족만이 생활공간을 넘어서 마을이라는 공동체로 열린 공간이다.

사랑채 건물을 좀더 분석해보자. 사랑채는 두 단의 높은 기단 위에 있다.  뒤에서부터 낮아지는 지형의 차이를

활용하여 기단부를 수직적으로 구성한 것이다.


벽체는 전면에서 볼 때 네 칸으로 되어 있는데 가운데 두 칸은 사랑방, 그러니까 온돌방으로 막혀있고 양축은

한 칸씩은 누마루 그리고 대청으로 비워져 있다. 누마루는 높이 들어올린 마루를 말하는 데, 격식을 갖춘 한옥의

중요한 구성요소이다.


누마루는 전면의 연못을 조망하거나 앞의 경관을 감상하는 기분좋게 시야가 열리는 장소이다. 누마루의 창문을

열어서 들어올려 매달면 이 모퉁이 칸은 완전히 개방된다. 여기서 허와 실의 대비적인 구성을 볼 수 있다.

한옥은 독특하게도 온돌과 마루를 한 채 내에 가지고 있는데, 이 두 요소를 잘 결합하여 구성함으로써 여러 가지

미학의 원리들을 나타내고 있다.


사랑채의 지붕은 팔작지붕이다. 옆에서 보면 삼각형 모양의 합각이 있는 지붕이 팔작지붕이라고 한다. 팔작지붕은

위계가 높은 건물에 많이 쓰였다. 팔작지붕은 형태적으로 단정하고 완결적이다. 전통 건물들을 보면 비례적으로

지붕의 비중이 크고 육중해 보인다. 실제로 지붕의 무게는 대단했다. 그래서 그 지붕을 구조적으로 또 ,미적으로

어떻게 지시하는가 하는 것이 전통 건축의 큰 과제였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이 윤증선생 고택의 사랑채에서 그런

문제를 아주 훌륭하게 해결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모퉁이를 비운 것이다. 그래서 오히려 육중한 지붕이 부유하는

듯하다. 지붕의 처마 곡선이 휘어 올라간 것도 그러한 느낌에 도움을 준다. 비움으로써 무거운 것이 가벼워 보인다?

대단히 역설적이고 형이상학적인 미학이다. 우둔한 건축과 같으면 ‘어이구 이거 무거운데 모퉁이를 잘 받쳐야지’ 하고

모퉁이를 채웠을 터인데... 그랬더라면 이 건물이 얼마나 둔해 보였을까?


윤증선생 고택의 여러 곳에서 치밀한 디자인과 번뜩이는 아이디어가 발견된다. 그 중의 하나가 바로 사랑방과 골방

사이에 있는 안고지기 곧 미닫이 여닫이이다. 미닫이로 열고 다시 문틀과 문짝이 맞물린 상태로 여닫이로 열리는 문,

참 대단한 아이디어이다.

 

이걸 우리시대 한옥의 대가 신영훈 선생은 다음고 같이 설명한다.

사랑채에는 눈에 띄는 재미있는 부분들이 있다. 그중의 하나가 사랑방 아랫목 북쪽 뒷방으로 들어가는 샛장지이다.

만살창으로 만든 네 짝의 미닫이인데 가운데 두짝을 좌우로 밀어 끝의 짝에 겹치게하고 열면 여닫을 수 있다.

끝의 문짝이 돌쩌귀에 달렸기 때문에 개폐가 가능하다. 이때 문지방의 일부가 문짝과 함께 열린다. 문지방을 잘라

놓은 것이다. 대단한 자신감이다. 말라 뒤틀리면 문지방이 이가 맞지 않는다. 그런데도 이렇게 개폐할 수 있게 하였다는

것은 그만큼 도편수가 자신만만했기 때문이다. 놀랍다. 이런 문은 지금도 현대 주택에서 얼마든지 응용할 수 있다.

우리의 집 구경은 이런 흥미있는 생동감 넘치는 자료수집으로 신이 난다.

 

실제로 이 안고지기(샛장지)미닫이는 삼성건설에서 종손의 허락을 받아 래미안아파트에 적용했다고 한다. 

 

다시 한필원교수님의 글로 돌아가서

 

안채에서 준비된 음식 등을 골방을 통해서 큰방으로 옮기려면 드나드는 문이 넓어야 하므로 이같은 독특한 고안을 하여

방 사이의 칸막이를 완전히 열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 문은 문지방이 문짝과 같이 여닫혀야 하므로 세부처리가 정교하게

되어야 하는데, 오늘날 건축 디자인의 관점에서 보아도 그 아이디어가 돋보인다.


  전통 한옥은 남성의 공간과 여성의 공간을 대비적으로 조성하여 외관상 분리하면서도 동선 상으로는 은밀하고 미묘하게

연결하는 것이 특징이다. 조선시대 중기 이후의 한옥은 남녀의 성, 세대, 신분에 따라 여러 채 또는 영역들로 나뉘지만,

결국 한 가족의 생활을 담아내야 하기 때문에 실제적으로는 눈에 띄지 않게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되고 있다. 특히 남성의

영역인 사랑채에서 손님을 접대하기 위해서는 여성의 영역인 안채로부터 음식을 서비스 받아야 했으므로 두 영역은 골방,

툇마루 등을 통하여 슬쩍 연결된다. 윤증선생 고택은 형태상으로는 분리하여 형식미를 갖추면서도 실제 생활에 불편이 없도록

작은 마당과 골방 등 재미있는 공간요소를 사용해서 남성과 여성의 공간을 연결하고 있는 좋은 예이다.

 

사진으로 함께 살펴보자

 

안채와 같은 높이에 있지만 마당에서 봤을때 높게 보이는 사랑채 

 옆모습, 좌측에 있는 방이 아들방이고 행랑채와 연결되어 있다.

 이은시사라는 현판이 붙어 있는 누마루. 현판 좌우측으로 보면 창틀을 반으로 접고 들어올려서 대들보에 고정한게 보인다. 참 멋진 아이디어다.

 

 사랑채 오른쪽 마루, 여름엔 마루에서 지내고 겨울엔 방에서 지낸다.

 석가산, 금강산 1만2천봉을 의미한다.

 예전엔 왼쪽 아래의 동그란 부분으로 물이 흘러들었다고 한다.

 양력의 기준이 되는 일표시 영점. 이 가문은 실학사상도 투철해서 1800년대 후반에는 모든제사나 기념일을 양력으로 지낸다.

지금도 양력설을지내고 제사도 양력으로 지낸다고 한다.

 누마르에서 내려다본 풍경.안산이 보인다.

그런데 저 누마루 창문의 비율이 우리가 요즈음 말하는 와이드 스크린 16:9의 비율이라니 믿어 지시는가? 

 일부러 후래쉬를 터트렸다.

 누마루 옆문으로본 풍경

 이제 안고지기(샛장지)미닫이를 자세히 알아보자 얼핏보면 평범한 미닫이인데

 

 문틀을 잘라서

 창호문이 없는것처럼 완전히 개방할수 있도록 만들었다. 삼성건설에서 아이디어를 빌려가서 아파트에 적용했다고 한다.

 

 

 사랑채의 중심 할아버지방

 해설사님의 설명대로 저렇게 반을 열고

 

 들어올리면 대블도에 고정이 된다, 여름엔 저렇게 들어올리고 겨울엔 닫으면 완전히 밀폐가 된다.

 할아버지 방에서 동쪽방향을 본 모습. 장독대가 보인다.

 내부의 모습을 보기위해 일부러 밝게 찍었다.

 

 사랑채의 대들보

 

 

 누마루를 옆에서 본 모습. 아래쪽에 아들방 아궁이가 있다.

 기둥이 조금 짧았는지 저렇게 나무로 끼워 맞췄다. 요즈음 시대에도 써먹을수 있는 지혜로운 방법이다.

이제 안채로 가보자.

배너 위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