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내여행/제주

[제주]평화의 섬 제주의 가슴아픈 역사, 항파두리 항몽유적지

by 柔淡 2012. 11. 12.

나와 같은 분야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매년 가을 우리나라 안보와 관련된 국토순례를 하는데 동해안은 울릉도와

독도, 서해안은 백령도, 남해안은 이순신 장군의 대첩지인 한려수도를 돌아보았고 올해는 제주도에 2박3일 다녀

왔다. 제주도 첫번째 방문지는 고려시대 원의 침입에 대항해서 삼별초가 끝까지 항쟁했던 항파두리에 있는

항몽유적지였다. 나는 2년전에 개인적으로 항파두리성과 환해장성을 다녀오적이 있었지만 일행 대부분은  제주에

이런 역사적 사실이 있다는걸 처음 안다고 했다.

 

삼별초의 항쟁은 13세기 고려가 몽골에 대항하여 최후까지 항쟁한 대표적인 사례이다. 원래 삼별초는 고려 무인

정권하 몽골군의 침입 직전인 고종 17년(1230) 경 집정자 최우(崔瑀)에 의하여 야별초라는 이름으로 조직된 고려의

군사조직이다. ‘별초’라는 말처럼 이들은 정예군으로 선발된 조직이었으며, 무인정권이라는 정치적 조건하에서

만들어진 조직이었던 만큼 친정권적 성격을 가졌다.

몽골군의 대대적 침략이 시작되자 삼별초는 자연히 고려의 가장 강력한 군사집단으로 부각되었으며, 전쟁의 장기화에

따라 그 규모 역시 확장되었다. 야별초가 ‘삼별초’라는 조직으로 바뀌는 것 또한 이러한 조직 확대의 결과였다. 원종

11년(1270) 강화도의 삼별초는 몽골에 복속하여 개경으로 환도한 원종의 고려정부에 반기를 들고 봉기하였다.

이들은 몽골에 복속한 개경정부를 전면 부정하고, 새로 조직한 그들의 정부야말로 고려의 정통정부라는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장군 배중손, 야별초 지유 노영희를 중심으로 하여 강화도에서 봉기한 삼별초는 6월 강화도로부터 진도로 이동

하여, 용장성을 구심점으로 개경정부와의 대결을 기도하였다. 이들은 구 후백제 지역과 남부 해안지역의 연안 해양세력권

구축을 통하여 개경정부 및 몽골과 대결한다는 것이었다. 동시에 몽골의 압력에 대응하는 방편으로 일본과의 공동전선

구축을 시도 하였다.


진도의 삼별초군이 벌인 활동양상은 진도 입거 이후 거점세력의 확보를 위하여 대략 3단계로 작전을 확대시켜 나갔다.

즉 초기에는 전라도 연해 지역의 세력 확보에 주력하였으며 제2단계로는 후방의 배후지가 되는 제주도의 확보, 그리고

3단계는 경상도 남부 연해지역 일대에 대한 지배권의 확보였다. 그리하여 진도를 중심으로 전라, 경상 연해 지역에 대한

일정한 세력 확보에 삼별초는 성공한다. 남부 연안 지역은 대체로 풍부한 물산지대인 데다 이들 물산의 운송로를  포함

하고 있어서 진도측의 이같은 연안장악으로 개경측의 타격은 자못 심각하였다. 진도를 거점으로 한 삼별초는 진도 이외에

남해안의 완도, 남해도 등 주변 여러 도서에 세력을 부식하였고 제주도를 배후 거점으로 삼고 있었다. 완도의 송징,

남해도의 유존혁(劉存奕) 등이 그 예이다.


진도의 삼별초군은 여러 차례 여몽연합군과의 싸움에서 승리하며 개경정부를 위협하였다. 그러나 원종 12년(1271) 5월

김방경(金方慶)과 흔도(忻都 몽고장수), 홍다구(洪茶丘)가 지휘하는 여몽 연합군의 공격에 의하여 패퇴하고 말았다.

진도전투에서 장군 배중손이 전사하고 왕으로 옹립된 승화후 온(承化候溫)이 생포되어 참수되었으며 삼별초 진도정권은

봉기한 지 1년 만에 붕괴되었다.

그러나 삼별초의 잔여세력은 제주도로 거점을 옮겨 원종 14년(1273)까지 항전을 지속하였다. 북제주군 애월읍 소재 항파

두성은 당시 제주 삼별초의 거점이었다. 이들은 애월항의 입구에 목성(木城)을 쌓고 해변에는 장성(長城)을 돌로 쌓아

여몽연합군의 침입에 대비하였다. 김통정(金通精)이 배중손을 대신하는 새로운 지도자로 부각되었다. 제주에서의 삼별초는

처음 1년 동안 자체적인 조직 정비 및 방어시설의 구축에 주력하였고 이후 약 반년 간은 삼별초의 원래 본거지였던 전라도

연해안에 대한 군사활동 전개를 거쳐 점차 그 활동이 충청 경기 연해안까지 확대되어 개경을 위협하였다. 그러나 여몽연합군의

조직적 공략에 의하여 원종 14년(1273) 4월 제주 삼별초 역시 무너지고 말았다. 삼별초의 항전은 고려 대몽항전의 최후를

장식한 것으로서 이후 고려는 14세기 중반까지 원의 정치적 관리 하에 놓이게 된다.

 

항몽유적지

 

항몽순의비

 

 

 

 

 

 

제주에 흔한 먼나무

 

 

 

 

 

항몽유물

 

 

 

 

 

 

 

 

 

 

 

 

 

 

 

 

 

 

유수암리 토성으로 가는길

 

 유수암리에 있는 항파두리 토성. 자세한 내용은 항파두리토성과 환해장성 참조 : http://blog.daum.net/j68021/13745092

 

 

 

 

제주는 육지에서 많이 떨어져 있어 우리민족 역사상에 있었던 900여회의 외침을 피해간줄 알았는데 제주의 속살을 하나씩 파헤쳐 볼수록

오히려 외침으로 인한 피해와 왜구의 끊임없는 침략을 받았다는 사실을 알게된다.

삼별초위 몽고항쟁부터 임진왜란, 일제시대 알뜨르 비행장과 미군의 폭격을 피하기위한 동굴파기, 4.3 사태, 6.25때의 신병훈련소 설치 등등  

작은섬이라 오히려 고초가 더욱 컷으리라는 짐작이다.

 

흔히들 "평화의섬 제주" 라 하는데 말그대로 평화가 지켜져서 아름다운 제주를 자손만대까지 물려줄수 있으면 하는 바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