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물원403

[전북익산]화려한 꽃잔디와 청초한 목련이 묘하게 어울리는 늘푸른수목원 점심을 먹고 오후에 첫번째로 간곳은 왕궁면의 늘푸른수목원. 보석박물관에서 5분거리이다. 농장주 송호윤씨 부부가 30년동안 꽃잔디를 전문으로 재배를 해오며 꽃잔디와 정원수를 판매하는곳인데 입장료가 없다. 전국의 웬만한 수목원은 다 다녀봤는데 이곳은 나도 이번에 처음으로 알게된 곳이다. .. 2010. 4. 22.
화려한 꽃들의 향연, 아침고요수목원 온실 (03. 28) 아침고요수목원에는 유리로된 오실이 하나 있는데 그곳에 사시사철 외래동의 화려한 꽃들이 피어있다. 해마다 이른봄에 찾아가는데 꽃샘추위가 아무리 심해도 이곳에 들어서면 봄이 왔음을 한껏 느낄수 있다. 외래종이라 일부만 이름을 아는데 그냥 꽃사진만 나여해 보겠다. 2010. 4. 2.
[경기가평]아침고요수목원 봄의 상징, 크로커스 (03. 28) 해마다 이른봄 아침고요수목원엘 가면 입구에 들어서자마자 오른쪽 고향정원쪽 화단과 뚝에 하양, 노란, 자주색의 크로커스가 활짝 피어나 방문객들을 환영한다, 워낙 화사해서 그꽃을 보면 봄이왔음을 실감케 한다. 그런데 우리나라에선 일부사람들이 크로커스와 샤프란을 혼동해서 알고있다. 크로.. 2010. 3. 31.
[경기가평]아침고요수목원 한반도 야생화전 8, 처녀치마 외 (03. 28) 처녀치마 성성이치마, 치마풀이라고도 함. 백합과(百合科 Liliaceae)에 속하는 다년생초. 산 속의 습한 응달에서 자란다. 뿌리와 줄기는 짧다. 뿌리에서 로제트를 이루며 나오는 잎은 길이 7~15㎝, 너비 1.5~4.0㎝의 피침형으로 끝은 뾰족하며, 표면은 광택이 있다. 3월초에 꽃대가 30㎝까지 올라와 하순에 꽃.. 2010. 3. 31.
[경기가평]아침고요수목원 한반도 야생화전 7, 돌단풍 외 (03. 28) 돌단풍 범의귀과(―科 Saxifragaceae)에 속하는 다년생초. 냇가의 바위 겉이나 바위틈에서 자라며, 바위 겉에 단풍나뭇잎처럼 생긴 잎이 달린다고 해서 이름이 '돌단풍'이다. 뿌리줄기가 매우 굵고 비늘 모양의 포(苞)로 덮여 있다. 키 20㎝ 정도이다. 잎은 뿌리줄기에서 바로 2~3장이 나오는데 단풍나뭇잎처.. 2010. 3. 31.
[경기가평]아침고요수목원 한반도 야생화전 6, 천상초 외 (03. 28) 천상초 바위취과의 천상초는 유럽 북서부와 중부지역에서 자라며 여러해살이 식물이다. 내한성이 강하나 고온다습에는 취약하여 통풍이 잘 되는 곳에서 관리한다. 길이는 15~20cm이고 잎에는 3~5개의 로브가 생긴다. 3~5월에 흰색, 분홍색, 붉은색, 노란색 등 매우 다양한 색의 꽃이 핀다. 개화 후 30~40일.. 2010. 3. 30.
[경기가평]아침고요수목원 한반도 야생화전 5, 노랑복주머니란 외 (03. 28) 노랑복주머니란(노랑개불알꽃) 난초과(蘭草科 Orchidaceae)에 속하는 몇몇 속(屬)의 식물들 가운데 입술꽃잎[脣瓣]이 슬리퍼처럼 생긴 꽃이 피는 종류. 개불알꽃속(Cypripedium)은 온대와 아열대지방에서 자라는 50여 종(種)으로 이루어져 있다. 가장 널리 알려진 종류는 노랑개불알꽃 (C. calceolus)이며, 분홍개.. 2010. 3. 30.
[경기가평]아침고요수목원 한반도 야생화전 4, 설앵초 외 (03. 28) 설앵초 앵초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15cm 정도이며, 잎은 뿌리에서 모여나고 둥글거나 구둣주걱 모양이다. 꽃줄기 끝에서 5~6월에 엷은 자주색 꽃이 산형(繖우산 산 ㉠우산 ㉡일산 " alt>繖形모양 형 ㉠모양 ㉡형상 ㉢얼굴 " style="FONT-SIZE: 13px; BACKGROUND-COLOR: #ffffff">形) 꽃차례로 피고 열매는 원기둥 모양.. 2010. 3. 30.
[경기가평]아침고요수목원 한반도 야생화전 3, 진달래 외 (03. 28) 올봄은 유난히 눈도 많이오고 꽃샘추위가 심하니 진달래도 온실에서 대접을 받는다. 고비 고사리잎은 갈라져 있고 키가 1.5m까지 자란다. 이 속에 속하는 식물들은 곳곳에서 자라며 실 모양의 뿌리는 무더기로 자라나는데 이를 고비섬유 (osmunda fibre/osmundine)라 한다. 이 섬유를 뜯어낸 다음 배지(培地)를.. 2010. 3. 30.